주택 공급 선행지표 일제히 감소…지방 '공급 절벽' 심화

김학영 기자

news@dokyungch.com | 2025-11-21 08:03:49

/연합뉴스 자료사진

[도시경제채널 = 김학영 기자] 올해 1~9월 주택 인허가·착공·분양 물량이 모두 줄어들며 주택 공급을 둘러싼 불안 신호가 커지고 있다. 선행지표 감소가 향후 준공 물량 축소로 이어질 경우, 최근 상승 흐름을 보이는 주택시장 불안 요인이 될 수 있다는 경고가 나온다.

국토교통부가 21일 발표한 주택통계에 따르면 올해 전국 주택 인허가 물량은 21만8322호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0.4% 감소했다. 착공 물량은 17만787호로 11.3% 줄었고, 분양은 13만309호로 19.5% 감소해 감소폭이 가장 컸다.

특히 지역별 격차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수도권은 인허가가 11만1115호로 22.9% 늘었지만, 지방은 10만7207호로 16.7% 줄었다. 착공은 수도권 7.0% 감소, 지방 16.9% 감소로 모두 축소됐고, 분양도 수도권 7만5734호로 9.2% 감소한 반면 지방은 5만4575호로 30.5% 급감했다. 지방은 미분양 누적과 공급 절벽이 동시에 나타나는 이중 부담 상황이 심화되는 모습이다.

주택 공급 흐름은 통상 인허가 후 3~5년, 착공 후 2~3년 뒤 시장에 반영된다. 전문가들은 이번 선행지표 감소가 중장기 공급 부족으로 이어질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다.

이지현 주택산업연구원 도시정비실장은 “단기 규제 완화만으로는 시장 불안을 잡기 어렵다”며 “신속한 공급 확대가 가장 근본적인 안정책”이라고 말했다. 이어 “정부에 주택공급 특별대책지역 제도를 제안한 것도 특정 지역의 인허가와 세제, 용적률 인센티브를 집중해 공급 속도를 높이자는 취지”라고 설명했다.

정부도 공급 확대 신호를 내고 있다. 9·7 공급 대책 발표 이후 두 달이 지났지만 수도권 집값 상승세가 꺾이지 않자, 국토부는 연내 추가 공급 대책 준비에 들어간 상태다.

김윤덕 국토교통부 장관은 “추가 공급 의지가 확고하다”며 “대상지를 검토 중이며 가능하면 연내 발표하겠다”고 밝혔다.

[ⓒ 도시경제채널.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