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세운4구역 개발 관련 의혹 보도에 “사실과 다르다” 반박
윤현중 기자
news@dokyungch.com | 2025-11-23 16:58:27
[도시경제채널 = 윤현중 기자] 서울시가 최근 일부 언론에서 제기된 세운4구역 개발과 한호건설그룹의 커넥션 의혹 및 개발이익 환수 부재 주장에 대해 “명백히 사실과 다르다”며 23일 반박 입장을 내놨다.
“한호건설그룹과 커넥션? 사실 아냐”
서울시는 “세운4구역 개발계획 변경이 특정 민간 건설사의 의견을 반영한 결과라는 보도는 허위”라고 밝혔다. 시는 2022년 발표한 ‘녹지생태도심 재창조 전략’이 특정 사업을 위한 것이 아니라 도심 전역을 대상으로 시민 중심의 도시공간을 조성하기 위한 정책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한호건설그룹의 토지 매입 시점은 2021년이 아닌 2022년 10월부터 2023년 9월으로, 이는 서울시 정책 발표 이후였다고 강조했다. 서울시는 “이미 2021년 하반기부터 세운지구 개발 방향 전환은 공개적으로 논의된 사안”이라며 커넥션 의혹을 일축했다.
개발이익 환수 부재 주장도 반박
서울시는 “개발이익이 특정 민간 개발사에 집중되고 환수 장치가 없다는 보도 역시 사실이 아니다”라고 밝혔다.
세운4구역의 기반시설 부담률을 기존 3%에서 16.5%로 확대해 개발이익 환수 규모를 약 12배 늘렸다는 것이다. 기존 계획에서는 약 184억 원을 환수할 예정이었으나, 변경된 계획에서는 공공임대상가·종묘 역사박물관·세운상가군 매입 기부채납 등을 통해 약 2164억 원을 환수할 수 있도록 했다.
또한 민간 토지주들에게 돌아갈 순이익은 보도된 3900억 원이 아닌 112억 원으로 추정되며, 한호건설그룹이 소유한 지분에 해당하는 이익은 약 34억 원에 불과하다고 설명했다.
논란이 계속되는 세운지구 개발계획. /연합뉴스 자료사진
기타 의혹도 반박
서울시는 세운지구 개발 정책 전환 과정에 대해서도 “세운4구역은 2004년 도시환경정비구역 지정 당시부터 이미 1개 구역으로 통합 정비하는 것으로 추진돼 왔다”며 정책 전환이 특정 기업을 위한 것이 아니라는 점을 강조했다.
이외에도 서울시는 주민대표회의가 특정 기업의 외피라는 주장에 대해 “법적 기구로서 총 11인으로 구성돼 있으며, 한호건설그룹은 그중 1인에 불과하다”고 밝혔다. 또한 한호건설그룹이 과거 서울시 고위 공무원을 영입했다는 의혹에 대해서도 “보도된 인물은 2005년 퇴직한 사무관으로 세운상가 재개발 책임자가 아니며, 해당 자회사 재직 시기는 2014~2018년으로 세운4구역 토지 매입 시기와 무관하다”고 설명했다.
서울시는 “세운4구역 개발은 시민 중심의 녹지·보행 공간 확충과 공공기여 확대를 통해 공공성과 투명성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추진되고 있다”며 “특정 기업과의 커넥션이나 개발이익 집중은 사실이 아니며, 오히려 공공 환수 규모를 대폭 늘린 정책”이라고 강조했다.
[ⓒ 도시경제채널.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