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규제 전 사자"…서울 아파트 실거래가 4년8개월만 최대 상승
유덕부 기자
news@dokyungch.com | 2025-11-18 10:19:54
[도시경제채널 = 유덕부 기자]
10·15 대책 전 아파트 매수세가 몰리면서 9월 서울 아파트 실거래가 지수가 4년 8개월 만에 최대 폭으로 상승했다.
18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공동주택 매매 실거래가 지수에 따르면 9월 서울 아파트 실거래가 지수는 2.75% 상승해 2021년 1월 3.15%를 기록한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상승했다.
실거래가 지수는 시세 중심의 가격 동향 조사와 달리 실제 거래된 가격을 동일 단지, 동일 주택형의 이전 거래 가격들과 비교해 지수화한 것이다.
실거래가 지수가 오른 것은 해당 월의 거래 가격이 이전 거래가보다 높은 금액에 팔린 경우가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서울 아파트 실거래가 지수는 지난 6월 2.36% 오르며 상승 거래가 많았다가 주택담보대출 한도를 6억원을 제한한 6·27 대출 규제 여파로 7월(0.97%)과 8월(-0.02%)에는 직전 거래와 비슷하거나 낮은 가격에 팔리는 등 약보합세를 보였다.
그러나 9·7 공급 대책 이후 공공 주도의 공급 방식에 대한 실망감과 토지거래허가구역 추가 지정 등 규제 가능성이 커지며 한강 벨트 등을 중심으로 상승 거래가 증가한 것으로 풀이된다.
권역별로 강남4구(강남·서초·송파·강동구)가 있는 동남권이 3.85%로 가장 많이 올랐다. 상승 폭으로는 2020년 7월(4.68%) 이후 가장 높은 것이다.
이어 마포·서대문·은평구가 위치한 서북권이 3.11%로 뒤를 이었고, 성동·광진구가 있는 동북권은 2.48%, 영등포·양천·동작구 등의 서남권은 2.39%, 용산·종로·중구 등의 도심권은 2.48% 상승했다.
수도권 전체로는 서울과 경기(1.36%)의 상승 영향으로 1.69% 올랐고 지방은 0.35%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따라 전국 아파트 실거래가 지수는 1.09% 올라 2021년 9월(1.93%) 이후 가장 큰 폭의 상승을 기록했다.
아파트 실거래가 지수 상승은 10월에도 이어질 전망이다.
부동산원이 지난달 말까지 신고된 물량으로 집계한 서울 아파트 실거래가 10월 잠정 지수는 1.48%, 전국은 0.64% 오를 것으로 전망됐다.
다만 10·15대책 이후 20일 토지거래허가구역 확대 전까지 강북에선 일부 급매물이 팔리기도 해 최종 결과는 달라질 수 있다.
[ⓒ 도시경제채널.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