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이앤씨 95.4%로 최고

국내 주요 대형 건설사들의 평균 원가율이 상반기 90%를 넘어 수익성 악화 우려가 커지고 있다.
22일 국내 9대 건설사가 제출한 반기보고서에 따르면 이들의 상반기 평균 매출 원가율은 91.3%로 집계됐다. 전년 동기(92.5%)보다 소폭 낮아졌지만, 2010년대 후반 80%대 수준과 비교하면 여전히 높은 수치다.
개별 기업별로는 포스코이앤씨가 95.4%로 가장 높았고, 롯데건설(94.4%), 현대건설(93.5%), 현대엔지니어링(93.0%), GS건설·SK에코플랜트(각 90.7%)가 뒤를 이었다. 대우건설(88.5%), DL이앤씨(88.2%), HDC현대산업개발(87.7%)은 상대적으로 낮은 80%대를 기록했다.
원가율 상승의 주요 배경은 공사비 급등이다. 코로나19 팬데믹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원자재와 인건비가 동시에 뛰면서,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이 집계한 건설 공사비 지수는 2020년 6월 99.35에서 올해 6월 131.07로 31.9%나 올랐다.
수익성 악화에 따라 건설사들은 공사비 증액에 나서고 있다. GS건설은 지난 4월 서울 신반포지구 재건축(메이플자이) 조합과 788억 원 증액에 합의했으며, 송파 잠실 진주아파트 재건축 조합도 올해 1월 삼성물산·HDC현산 컨소시엄과 588억 원 증액을 확정했다.
이은형 건설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대형사조차 원가율이 90% 이상을 기록하는 등 전반적 상황이 녹록지 않다”며 “장기화된 경기 침체와 공사비 상승 압력이 수익성을 위협하고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도시경제채널.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