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수도권은 초과공급
서울·수도권 불균형 심화

[도시경제채널 = 도시경제채널] 서울의 1·2인가구 증가로 가구 분화 속도가 주택 공급을 7년째 앞지르며 전월세 불안이 이어지고 있다.
28일 부동산R114가 통계청 주택보급률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21~2023년 최근 3년간 서울의 연평균 가구 수 증가량은 5만3000가구였지만 주택 수 증가량은 3만3000가구에 그쳤다. 연간 약 2만가구의 수급 불균형이 발생한 셈이다.
연도별로 보면 서울의 가구 수는 2017년 2만9000가구, 2018년 2만7000가구, 2019년 5만7000가구, 2020년 8만6000가구, 2021년 6만5000가구, 2022년 5만2000가구, 2023년 4만3000가구 늘었다. 같은 기간 주택 증가는 각각 2만7000가구, 1만1000가구, 5만6000가구, 4만가구, 3만4000가구, 2만8000가구, 3만9000가구였다.
특히 2020년에는 가구 분화가 8만6000가구였던 반면 주택 공급은 4만가구에 그쳐 격차가 4만6000가구로 가장 크게 벌어졌다. 지난해는 가구 증가량이 4만3000가구, 주택 공급이 3만9000가구로 차이가 4000가구 수준까지 좁혀졌지만 여전히 불균형은 이어졌다.
전국 단위로 보면 2023년 가구 수가 30만가구 증가했을 때 주택은 39만가구 늘어나 일부 지방에서는 초과 공급 현상도 나타났다. 그러나 권역별 총량을 비교하면 서울이 26만3000가구 부족으로 가장 심각했고, 이어 경기 3만6000가구, 대전 2만4000가구, 인천 1만1000가구 순으로 나타났다.
부동산R114 관계자는 “서울과 수도권처럼 가구 증가가 빠른 지역은 주택 공급이 뒤따르지 않는 한 전월세 수요가 지속적으로 늘어날 수밖에 없다”며 “정부가 곧 내놓을 공급대책이 주택 총량 부족이 두드러진 서울·수도권에 맞춤형으로 집중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도시경제채널.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