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재명 정부의 세 번째 부동산 시장 규제가 예고되면서 10월 전국 아파트 입주전망지수가 크게 상승했다. 규제 시행 전 주택을 구매하려는 실수요자와 투자자들의 매수 심리가 확산되며, 상대적으로 가격 부담이 덜한 경기·지방 아파트 입주 기대가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주택산업연구원(주산연)에 따르면 10월 전국 아파트 입주전망지수는 87.7로 전월(82.0) 대비 5.7포인트 상승했다. 수도권(91.0→92.7)과 광역시(81.9→89.0), 도 지역(78.7→84.9) 모두 상승세를 기록하며 전국적으로 입주 기대감이 확산됐다.
주산연은 “6·27 대출규제 이후 급감했던 거래량이 8월 반등에 이어 9월에 더 확대됐다”며 “정부의 추가 규제 가능성이 관측되면서 규제 시행 전에 주택을 사려는 심리가 강화돼 전국 신축 아파트 입주전망이 상승했다”고 분석했다.
지역별로는 서울이 100.0으로 전월(102.7) 대비 2.7포인트 하락했지만, 인천(84.0)과 경기(94.1)는 각각 1.9포인트, 5.9포인트 상승했다. 주산연은 “서울의 고가 아파트 거래가 일부 회복되자, 대출 여력이 상대적으로 큰 경기도 지역으로 매수세가 확산됐다”고 설명했다.
5대 광역시 가운데 부산은 23.1포인트 급등한 84.2를 기록했고, 대전(100.0)과 세종(108.3)도 각각 14.3포인트, 26.5포인트 상승했다. 반면 대구(75.0) 광주(78.5) 울산(88.2)은 하락세를 보였다. 도 지역에서는 강원(87.5), 충북(88.8), 경북(91.6) 등 대부분 지역이 상승한 반면, 제주(75.0)와 충남(90.9)은 소폭 하락했다.
주산연은 “주택 가격이 반등하고 거래량이 회복되면서, 공급 감소 우려가 있는 지역을 중심으로 입주전망이 개선됐다”며 “그러나 미분양이 누적된 대구·광주 등은 정부의 9·7 공급대책에서도 지원책이 빠지면서 수요 회복이 지연되고 있어 지역 양극화가 심화될 수 있다”고 진단했다.
한편 9월 전국 아파트 입주율은 71.2%로 전월 대비 3.8%포인트 상승했다. 수도권은 82.9%, 5대 광역시는 67.4%, 기타 지역은 69.6%로 집계됐다. 미입주 사유는 잔금대출 미확보(38.9%)가 가장 많았고, 기존주택 매각지연(31.5%), 세입자 미확보(18.5%), 분양권 매도지연(3.7%) 순이었다.
주산연은 “시장 거래량 회복으로 기존주택 매각지연과 세입자 미확보 요인이 줄었지만, 대출규제 강화로 잔금대출 확보 부담이 다시 커졌다”며 “추가 대출규제가 현실화될 경우 잔금대출 미확보가 입주시장의 핵심 변수로 작용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저작권자ⓒ 도시경제채널.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