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G전자가 인도법인을 인도 증권거래소에 상장하고 1조8000억원 규모의 현금을 국내로 조달한다. 인도 현지 상장은 LG전자가 해외 시장에서 추진한 첫 대규모 기업공개(IPO)로, 글로벌 생산 거점 확대와 재무구조 개선에 탄력을 줄 전망이다.
LG전자는 14일 인도 뭄바이 국립증권거래소(NSE)에서 인도법인 상장과 미래비전 발표행사를 열었다. 조주완 LG전자 CEO와 아쉬쉬 차우한 NSE CEO가 현지 시간 오전 10시 개장 종을 울리며 ‘LG전자 인도 주식시장 진출’을 공식화했다.
LG전자는 인도법인 발행주식의 15%인 1억181만5859주를 구주매출 형태로 처분했다. 공모가는 희망가 밴드 상단인 주당 1140루피, 한화 약 1만8000원으로 확정됐다. 청약 경쟁률은 54대1로 2008년 이후 인도 IPO 사상 최대 규모의 자금이 몰렸다. 공모가 기준 인도법인의 기업가치는 약 12조원으로 평가됐다.
LG전자는 상장을 통해 1조8000억원 규모의 현금을 국내로 유입한다. 차입금비율이나 금융비용 부담 없이 확보한 자금이 유입되며 재무건전성이 한층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회사는 조달 자금을 미래 성장 투자와 신사업 확대에 활용해 기업가치와 주주가치를 동시에 끌어올린다는 계획이다.
조주완 CEO는 이번 상장과 함께 ‘인도를 위해(Make for India)’, ‘인도에서(Make in India)’, ‘인도를 세계로(Make India Global)’라는 3대 비전을 제시했다. 인도 인구 14억명을 기반으로 현지 맞춤형 전략을 강화하고, 인도를 글로벌 제조와 연구개발 중심 거점으로 육성한다는 구상이다.
LG전자는 인도 특화 가전 라인업도 공개했다. 세탁기와 에어컨 등 4종의 현지 맞춤형 제품을 다음 달부터 순차 출시하며 가격과 기능, 디자인 모두 인도 생활환경에 맞췄다. 모든 제품은 인도 내 공장에서 생산된다.
또 인도 정부의 제조 부흥 정책에 맞춰 생산·R&D·판매·서비스 등 현지 밸류체인을 고도화한다. 1997년 인도 시장 진출 이후 LG전자는 노이다와 푸네에 완결형 생산 체계를 구축했으며, 현재 6억달러를 투자해 스리시티 지역에 신공장을 건설 중이다. 신공장은 약 2000개의 직·간접 일자리를 창출할 것으로 예상된다.
스리시티 공장이 완공되면 LG전자의 인도 내 연간 생산능력은 냉장고 360만대, 세탁기 375만대, 에어컨 470만대, 컴프레서 200만대, TV 200만대로 확대된다. 이와 함께 벵갈루루에 위치한 LG전자 SW연구소는 AI와 SoC(시스템온칩) 중심의 차세대 기술 연구 거점으로 육성된다.
조주완 CEO는 “이번 상장으로 인도는 LG전자의 글로벌 사우스 전략의 핵심 거점이 될 것”이라며 “LG전자와 인도법인의 성장을 동시에 가속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도시경제채널.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