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대구 청약경쟁 수백 대 1, 실거래가도 급등

중소형 아파트가 부동산 시장의 ‘핵심 통화’로 떠오르며, 브랜드 단지 중심으로 청약 과열과 가격 상승세가 확산되고 있다.
15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올해 7월 전용 59~84㎡ 아파트 매매가격지수는 100.33으로 최근 3개월 연속 상승하며 2023년 2월 이후 최고치를 찍었다. 국토교통부 집계에서도 올해 상반기 아파트 매매 27만4175건 중 72.68%가 중소형(19만9284건)이었다. 중소형 거래 비중은 2023년 71.95%, 2024년 72.63%에 이어 3년 연속 상승세다.
◆ 청약시장, “중소형 쏠림” 극단적 과열
분양시장에선 브랜드 중소형의 위세가 더 두드러진다. 지난 7월 부산 해운대구 ‘르엘 리버파크 센텀’ 전용 84㎡는 56가구 모집에 6517명이 몰려 116.4대 1을 기록했다. 같은 달 부산 수영구 ‘써밋 리미티드 남천’ 전용 84㎡는 57가구 모집에 무려 1만3000건 접수돼 226.8대 1을 보였다. 대구 범어동 ‘대구 범어 2차 아이파크’ 전용 84㎡는 75대 1, 춘천 ‘레이크시티 2차 아이파크’ 전용 84㎡는 37.7대 1로 전 세대가 순식간에 마감됐다.
◆ 실거래가도 급등세
청약 과열은 실거래가 상승으로 이어지고 있다. 부산 수영구 ‘광안 자이’ 전용 84㎡는 8억4500만원에서 불과 넉 달 만에 10억3600만원으로 뛰었다. 인근 ‘더샵남천프레스티지’ 전용 59㎡는 6개월 새 1억원 올랐다. 대구 범어동 ‘센트럴 푸르지오’ 전용 84㎡도 1년 새 1억500만원 상승했다.
◆ 분양시장, 브랜드 단지로 눈길 집중
이 같은 분위기 속에서 현재 분양 중인 브랜드 단지들이 주목받고 있다.
실제 부산 수영구 광안동 ‘드파인 광안’은 SK에코플랜트의 프리미엄 브랜드 첫 적용 단지로 총 1233가구 규모다. 광안역 도보 2분 거리에 위치한 초역세권 단지로 생활·교육 인프라가 풍부하며, 중도금 무이자와 발코니 무상 확장 혜택을 제공한다.
대전 동구 ‘롯데캐슬 더퍼스트’는 총 952가구 규모로 전용 59㎡·74㎡ 전세대 중소형 평면으로 구성됐다. 판암IC, 대전역과 인접해 교통 접근성이 뛰어나고, 공간 효율성을 높인 4Bay 구조를 적용했다.
울산 남구 ‘e편한세상 신정 스카이하임’은 전용 84㎡ 158가구 규모로 생활 인프라가 밀집한 입지에 들어선다. 계약금 500만원 정액제와 중도금 이자 후불제를 도입해 실수요자의 부담을 낮췄다.
이처럼 중소형 아파트는 청약 과열과 거래 비중 확대, 실거래가 상승까지 시장 전반을 견인하며 ‘브랜드 프리미엄’을 입은 대표 상품으로 부상했다.
중소형 아파트의 강세는 단순한 평형 선호를 넘어선다. ▲높아진 주택 가격 속 가성비, ▲브랜드 건설사들의 집중 공급, ▲교통·학세권 입지 확보가 맞물려 수요가 폭발하고 있다. 시장에서는 당분간 “브랜드 중소형이 집값 바로미터” 역할을 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저작권자ⓒ 도시경제채널.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