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동통신사들의 잇단 개인정보 유출과 무단 소액결제 피해가 확산되면서 소비자·시민단체가 책임 있는 대응을 촉구했다.
민생경제연구소, 서울YMCA 시민중계실, 참여연대 민생희망본부, KT새노동조합, 한국소비자연맹은 15일 서울 종로구 KT 광화문 빌딩 앞에서 공동 기자회견을 열고 “SK텔레콤 유심 해킹 여파가 가시기도 전에 KT에서 소액결제와 개인정보 유출이 발생했다”며 “국민 불안이 커지는데도 이동통신사와 정부는 안이하게 대응하고 있다”고 밝혔다.
단체들은 이동통신사들이 피해 규모 축소와 보상 최소화에만 급급했다고 비판했다.
서울YMCA는 “제3자가 소액결제를 하려면 유심 데이터뿐 아니라 단말기 식별번호와 주민등록번호가 함께 필요한데, KT의 유심·단말 정보와 개인정보가 동시에 유출된 것은 중대한 보안 실패”라고 지적했다.
단체들은 “국민연금이 대주주로서 경영진 책임을 엄중히 물어야 하며, 과징금 상한을 선진국 수준으로 높여야 한다”고 요구했다.
[저작권자ⓒ 도시경제채널.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