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아파트 시장이 임대차 중심으로 빠르게 재편되고 있다. 6·27 대출 규제 이후 전체 거래량이 40% 이상 줄어든 반면 전월세 비중은 80%를 넘어섰다. 전문가들은 이 흐름이 지속되면 월세 구조가 고착되고 주거비 부담이 커질 수 있다고 우려한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지난 6월 28일부터 25일까지 서울 아파트 거래는 3만7367건으로, 직전 두 달(6만4575건) 대비 42.1% 감소했다. 매수세 위축은 대출 규제와 금융비용 부담 확대가 주된 요인으로 꼽힌다.
거래 총량이 줄어든 가운데 임대차 비중은 급증했다. 같은 기간 전월세 거래는 3만1071건으로 전체의 83.2%를 차지했다. 직전 두 달(68.5%)보다 14.7%포인트 늘어난 수치다. 전세는 2만4779건에서 1만7944건으로 감소했지만 비중은 38.4%에서 47.9%로 9.5%포인트 상승했고, 월세는 1만9425건에서 1만3127건으로 줄었으나 비중은 30.1%에서 35.1%로 늘었다. 반면 매매는 2만371건에서 6296건으로 69.1% 급감하며 비중도 16.8%로 떨어졌다.
전문가들은 매수 심리 위축과 전세 불신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고 분석한다. 수도권 6억원 초과 아파트에 대한 주담대가 사실상 차단되면서 실수요자들이 매수 대신 임대차로 눈을 돌렸고, 전세금 반환 불안이 지속되자 초기 비용이 낮은 월세 선호가 강화됐다는 설명이다.
이은형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대출 규제로 전세금 마련이 어려운 수요층은 반전세나 월세로 이동하고 있다”며 “서울에서는 월세 50만~70만원 수준까지는 감내 가능하다는 인식이 자리 잡으면서 수요가 유지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대출 규제와 전세 사기 우려, 생활비 부담이 겹쳐 임대차 구조가 고착되는 흐름”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도시경제채널.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