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경제채널 = 도시경제채널] 서울 외곽 지역의 전세 물건이 2년 만에 절반 수준으로 줄며 서민들의 주거 사다리가 흔들리고 있다.
26일 부동산 정보제공 앱 ‘아파트실거래가’에 따르면 전날 기준 서울 전세 물건은 2만4898건으로, 2년 전(3만2242건)보다 22.8% 감소했다. 특히 ▲노원구(-55.1%) ▲중랑구(-54.6%) ▲도봉구(-51.8%) ▲금천구(-51.3%) 등 서울 외곽 지역의 감소 폭이 두드러졌다.
경기도는 더 심각하다. 같은 기간 경기 지역 전세 물건 감소율은 44.6%로, 서울의 두 배 수준이다.
전셋값도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이번 주(20일 기준) 서울 아파트 전셋값은 0.13% 상승해, 지난해 9월 둘째 주(0.17%) 이후 1년 만에 최대 상승폭을 기록했다. 서울 노원구 ‘포레나노원’ 전용 84㎡는 지난 8월 7억3500만원에서 이달 21일 8억원으로 6500만원 뛰었다.
부동산 시장의 ‘이중 경색’은 정부의 초고강도 규제에 따른 여파다. 정부는 지난 15일 서울 전역과 경기 12개 지역을 조정대상지역 및 투기과열지구로 묶고, 20일부터 토지거래허가구역과 2년 실거주 의무를 추가 적용했다.
서울의 한 공인중개업소 관계자는 “정부 대책 발표 후 전세 문의는 늘었지만 물건이 거의 없다”며 “실거주 요건 때문에 집주인들이 세입자를 꺼린다”고 전했다.
남혁우 우리은행 부동산연구원은 “대출 한도 축소로 주택 구입이 어려워진 수요가 임대차 시장으로 이동하는 흐름이 이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매매 시장도 급속히 위축됐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10·15 대책 시행 이후 16일부터 25일까지 열흘간 서울 아파트 매매 거래량은 564건으로, 직전 열흘(2679건) 대비 78.9% 감소했다.
규제지역 지정으로 무주택자와 처분조건부 1주택자의 주택담보인정비율(LTV)이 70%에서 40%로 축소되고, 주택가격별 대출 한도가 크게 제한된 영향이다.
시장 매물도 급감했다. 아파트실거래가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매물은 10·15 대책 시행 첫날(16일) 7만4044건에서 전날 기준 6만6647건으로 10% 줄었다. 갭투자 금지로 전세 낀 매물이 회수되고, 대출규제 강화로 상급지 ‘갈아타기’ 수요가 주춤하면서 매도자들이 매물을 거둬들인 것으로 분석된다.
[저작권자ⓒ 도시경제채널.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포토] 최태원 대한상의 회장, APEC CEO 서밋서 ‘K-사회적가치 기업관’ 운영](https://dokyungch.com/news/data/2025/10/30/p1065593589289032_477_h2.jpg)
![[포토] 김윤덕 국토부 장관, 세종포천 고속도로 오송지선 안전 점검](https://dokyungch.com/news/data/2025/08/29/p1065598332258014_255_h2.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