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경제채널 = 유덕부 기자] 이달 전국 아파트 분양 물량이 임대를 포함해 5만 가구에 육박할 전망이다. 지난달 정부의 10·15 주택시장 안정화 대책으로 청약 규제가 강화됐지만, 건설사들의 연말 ‘밀어내기 분양’이 본격화되면서 청약시장이 들썩이고 있다.
4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11월 전국 분양 예정 물량은 총 4만7837가구(임대 포함 기준)로 집계됐다. 올해 월간 기준 최대 물량이며, 전월 1만6811가구보다 3배, 작년 같은 달 3만2000여 가구보다 1.5만가구 이상 많다. 이는 2021년 12월 5만9447가구 이후 4년 만의 최대치다.
권역별로는 수도권이 3만8833가구로 2016년 10월 4만9096가구 이후 약 9년 만에 가장 많은 수준이다. 전년 동기 대비로는 2배 이상 늘었다. 수도권 내에서는 경기 2만7900가구, 인천 7612가구, 서울 3321가구 순으로, 경기 지역이 수도권 전체의 72%, 전국의 58%를 차지했다.
수도권 주요 단지는 서울 서초구 반포동 ‘반포래미안트리니원’ 2091가구, 서초동 ‘아크로드서초’ 1161가구, 경기 광명동 ‘힐스테이트광명11’ 4291가구, 안양자이헤리티온 1716가구, 의왕시청역SK뷰아이파크 1912가구, 파주 운정아이파크시티 3250가구, 인천시청역포레나더샵 2568가구, 시티오씨엘8단지 1349가구 등이다.
지방 분양 물량은 9004가구로 전월 9874가구와 비슷한 수준이며, 지난해 같은 달 1만3142가구보다 4000가구가량 줄었다. 지방은 세종 엘리프세종 424가구, 울산 다운2지구유승한내들에듀포레 507가구, 서산 트리븐서산 829가구, 청주지북B1 공공분양 757가구 등 중소 규모 단지 위주로 공급이 이어진다.
올해 10월까지의 청약경쟁률은 전국 평균 7.40대1, 서울 134.01대1, 수도권 10.71대1, 경기·인천 4.12대1로 서울과 수도권 중심의 청약 쏠림 현상이 여전히 뚜렷하다. 반면 5대 광역시 3.42대1, 기타 지방 5.86대1로 지방은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을 보였다.
부동산R114 관계자는 “청약 조건 강화와 대출 규제에도 불구하고 건설사들은 연내 목표 물량을 계획대로 진행하려는 경향이 강하다”며 “규제 지역 여부와 관계없이 수도권을 중심으로 차별적 공급이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도시경제채널.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포토] 최태원 대한상의 회장, APEC CEO 서밋서 ‘K-사회적가치 기업관’ 운영](https://dokyungch.com/news/data/2025/10/30/p1065593589289032_477_h2.jpg)
![[포토] 김윤덕 국토부 장관, 세종포천 고속도로 오송지선 안전 점검](https://dokyungch.com/news/data/2025/08/29/p1065598332258014_255_h2.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