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카카오는 23일 경기도 용인 카카오AI캠퍼스에서 연례 기술 컨퍼런스 ‘이프 카카오(if(kakao)25)’를 열고 카카오톡의 15년 만의 대규모 개편과 AI 전략을 발표했다. 올해 슬로건은 ‘가능성, 일상이 되다’로, 오프닝 키노트에 나선 정신아 대표는 카카오톡의 진화 방향과 AI 시대의 비전을 직접 제시했다.
정 대표는 “AI 시대의 도래로 우리의 일상과 대화 방식도 빠르게 달라지고 있다”며 “이번 개편은 이용자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고 시대 변화에 민첩하게 대응하려는 카카오의 전략을 담았다”고 밝혔다. 그는 “카카오톡은 이제 단순한 목적형 메신저를 넘어 탐색형 플랫폼으로 진화한다”며 메신저의 본질적 변화를 강조했다. 이어 “톡하듯 쉽고 편하게 AI의 문턱을 낮추는 것이 목표”라며 “5000만 이용자의 다양성과 취향을 존중하고, AI가 일상에 가장 자연스럽게 스며드는 서비스를 만들겠다”고 말했다. 그는 “‘카톡 해’라는 말은 이제 단순히 메시지를 보내는 것을 넘어, AI와 함께 더 큰 세상을 경험하는 의미로 확장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뒤이어 진행된 키노트에서는 주요 임원들이 카카오톡의 변화상을 구체적으로 소개했다. 홍민택 CPO는 ‘모든 가능성, 톡으로부터’라는 주제로 채팅방 폴더, 메시지 수정, ‘안읽음’ 요약 기능 등 신규 기능을 공개하며 “이번 개편은 이용자의 불편을 줄이고 대화와 관계, 일상을 더욱 쾌적하게 만드는 데 목적이 있다”고 설명했다.
유용하 AI에이전트 플랫폼 리더는 카카오와 OpenAI의 공동 프로덕트를 소개하며 “카카오톡 채팅탭에서 별도 앱 설치 없이 GPT-5 기반 ChatGPT를 곧바로 이용할 수 있다”고 발표했다. 그는 “ChatGPT와 카카오맵, 멜론, 선물하기 등이 연결돼 차별화된 경험을 제공하는 ‘카카오 에이전트’ 구조가 본격화된다”며, 정신아 대표가 강조한 ‘탐색 가능성의 창’이 현실화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강지훈 AI 디스커버리 리더는 온디바이스 AI ‘카나나 인 카카오톡’을 공개하며 “필요한 순간 먼저 말을 거는 AI”라는 콘셉트를 설명했다. 그는 “프라이버시를 지키면서도 AI가 똑똑하게 도움을 줄 수 있도록 ‘Privacy First’ 원칙을 적용했다”며, 대화 맥락 이해와 일정·예약 제안 등 일상 활용 시나리오를 제시했다.
김병학 카나나 리더는 자체 개발 모델 ‘카나나 모델 패밀리’를 소개하며 “글로벌 모델에 견줄 수 있는 성능과 효율성을 확보했으며, 보안성과 서비스 최적화에도 집중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멀티모달 이해, 영상·이미지·텍스트 통합 처리 등 기술적 진화를 설명하며 정신아 대표가 언급한 “일상 속 AI 경험의 확장”을 뒷받침했다.
현장에는 ‘Kakao AI Zone’ 전시·체험 공간도 마련돼 참가자들이 직접 ChatGPT for Kakao, 카나나 세이프가드, 멀티모달 모델 ‘Kanana-v’, 영상 생성 모델 ‘Kanana-kinema’를 체험했다. “필요한 순간 먼저 말을 거는 AI” 시연은 참가자들에게 카카오가 지향하는 ‘생활 속 AI’의 방향성을 실감하게 했다.
이날 행사장에서 청중들은 발표 직후 “드디어 카톡이 달라진다”는 반응을 보였다. 정신아 대표의 메시지가 전달한 바는 분명했다. 카카오톡은 더 이상 단순히 메시지를 보내는 도구가 아니라, 일상의 가능성을 끌어내는 플랫폼으로 진화하고 있다는 점이다.
[저작권자ⓒ 도시경제채널.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