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이버 침해 사고로 297만명의 고객정보가 유출된 롯데카드에 대해 피해자들의 반발이 거세지고 있다. 카드번호와 CVC 등 민감정보까지 빠져나간 사실이 드러나면서 불안과 분노가 증폭되고, 집단소송 움직임까지 본격화됐다.
22일 '롯데카드 개인정보 유출 집단소송 카페'에 따르면 현재 소송 참여 의사를 밝힌 인원은 5700여명에 달한다. 해당 카페는 지난달 말 해킹 사고가 알려진 뒤 이달 2일 개설됐다. 피해자들은 보안 관리 부실뿐 아니라 사고 대응 과정에서의 축소·지연 의혹을 강하게 제기하고 있다.
롯데카드는 지난 18일 297만명 고객의 개인정보 약 200GB가 유출됐다고 공식 발표했다. 그러나 사고 발생일인 지난달 14일 이후 35일이 지나서야 구체적인 사실을 공개했다. 당초 금융당국에 보고한 유출 규모는 실제의 100분의 1 수준인 1.7GB에 불과했고, 보름 넘게 "유출 사실이 없다"는 안내문을 홈페이지에 게재한 사실도 드러나 소비자들의 불신을 키웠다.
피해자들은 사고 이후 해외 결제가 반복적으로 시도되거나 스팸 전화가 급증했다고 호소하고 있다. 일부는 보이스피싱 의심 사례까지 겪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은 "롯데카드가 축소와 은폐로 일관해왔다"며 "실질적 피해가 발생하지 않았다 하더라도 언제든 2차 피해로 이어질 수 있다"고 강조했다.
롯데카드가 내놓은 보상안 역시 불만을 사고 있다. 회사는 정보가 유출된 고객에게 연말까지 10개월 무이자 할부 혜택과 '크레딧케어' 서비스를 제공하고, 카드번호와 CVC번호가 유출된 28만명에게는 재발급 시 내년도 연회비를 면제하기로 했다. 그러나 피해자들은 "형식적 조치일 뿐 실질적 구제와는 거리가 멀다"며 "권리를 찾기 위해 소송에 나설 수밖에 없다"는 입장이다.
실제 유출 피해를 입은 A씨는 "사고 발생 직후 명확한 안내가 없어 며칠간 불안에 시달렸다"며 "뒤늦게 내놓은 보상책도 무이자 할부 연장 수준에 불과하다"고 비판했다. 또 다른 피해자는 "사태 축소 의혹이 짙다"며 "직접 소송을 통해서만 보상받을 수 있는 상황으로 몰리고 있다"고 말했다.
소송에 참여하려는 피해자들은 사례를 취합해 전문 로펌과 연계, 공식 집단소송 절차를 진행할 계획이다. 카페 회원 규모와 참여 의사가 늘고 있는 만큼 소송 규모는 더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롯데카드 관계자는 "유출된 297만명 고객 가운데 현재까지 부정사용 사례는 없다"며 "이번 사고로 부정사용이 발생할 경우 2차 피해까지 포함해 전액 보상하고, 신고 시 입증 절차도 회사가 직접 맡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도시경제채널.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