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해 국정감사에 건설사 CEO들이 줄줄이 소환되면서 산업재해·지역주택조합·관저 공사 특혜 등 각종 현안이 도마 위에 오른다.
추석 연휴 직후 시작되는 국정감사에서 국내 주요 건설사 CEO들이 줄줄이 증인석에 앉게 됐다. 산업재해 책임 추궁이 핵심 쟁점으로 떠오른 가운데 일부 기업인은 지역주택조합 비리·관저 공사 특혜 의혹까지 포괄적으로 소환돼, 올해 국감이 건설업계를 정조준하는 자리가 될 전망이다.
◆환노위·국토위 동시 소환…10대 건설사 대부분 줄소환
국회 환경노동위원회는 1일 전체회의를 열고 현대건설, 대우건설, HDC현대산업개발, 현대엔지니어링, 포스코이앤씨, GS건설, DL그룹, 롯데건설, 서희건설, 금호건설 등 10개사 CEO를 증인으로 채택했다.
대표적으로 ▲이한우 현대건설 대표 ▲김보현 대우건설 사장 ▲정경구 HDC현산 대표 ▲주우정 현대엔지니어링 대표 ▲송치영 포스코이앤씨 사장 등이 포함됐다.
환노위는 중대재해처벌법 시행 이후 사망사고가 잇따른 점을 집중 추궁할 예정이다. 고용노동부 자료에 따르면 현대건설은 12건, 대우건설 11건, 롯데건설 9건의 사망사고가 발생했다. 현대엔지니어링과 포스코이앤씨 역시 매년 사고가 이어지고 있다.
국토교통위원회 역시 오는 13일 국감에서 안전관리 부실을 이유로 같은 CEO들을 다시 불러세운다. 이 과정에서 일부 인사는 두 상임위에 중복 소환됐다.
◆정치적 파장…이봉관 서희건설 회장, 뇌물 의혹까지
특히 서희건설 이봉관 회장과 김원철 대표는 지역주택조합 불공정 계약 의혹으로 환노위와 국토위에 동시 출석 요구를 받았다. 여기에 이 회장은 김건희 여사에게 인사청탁 목적으로 목걸이를 전달했다고 자수한 사건까지 얽혀 있어 여야 공방이 불가피하다.
또 서울~양평 고속도로 종점 변경 특혜 의혹과 관련해 이상화 동해종합기술공사 부사장도 증인으로 채택되며 국감 파장이 정치권 전반으로 확산될 조짐이다.
◆현대건설 CEO, 사상 첫 3곳 동시 출석
현대건설의 이한우 대표는 환노위와 국토위에 더해 법제사법위원회까지 총 3곳의 국감에 증인으로 채택됐다. 법사위는 가덕도 신공항 수의계약 파기, 윤석열 정부 당시 관저 공사 특혜 의혹 등을 집중 질의할 계획이다.
현대건설 관계자는 “이 대표가 세 상임위 국감에 모두 출석해 직접 소명할 예정”이라며 긴장된 분위기를 전했다.
◆“기업인 줄소환, 올해 국감 특징”
올해 국감에서는 삼성물산과 SK에코플랜트를 제외한 주요 건설사 대부분이 증인 명단에 포함되면서 “이례적으로 기업인 소환이 많다”는 지적이 국회 안팎에서 나온다. 전문가들은 “중대재해처벌법 정착과 부동산 공급 정책 혼란이 맞물리며 건설업계에 대한 정치적 책임 추궁이 강화되는 분위기”라고 분석한다.
업계는 대규모 소환전이 건설사의 사회적 책임을 다시 각인시키는 계기가 될지, 아니면 정쟁의 도구로 소비될지를 예의주시하고 있다.
[저작권자ⓒ 도시경제채널. 무단전재-재배포 금지]